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에서 하는 사업에는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장애인활동지원, 아이돌봄지원, 가사간병방문지원, 기저귀/조제분유지원, 지역사회서비스투자(아동발달 등 지원) 등이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로 이 바우처들을 통합이용 가능한데요, 전자바우처 서비스 소개기저귀바우처 사용방법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업은 신생아와 산모를 돌봐줄 건강관리사(산후도우미)를 집으로 불러주는 사업입니다.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의 100%이하 금액인 가정이 대상이나, 둘째 이상 출산가정,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난치질환 산모나 장애인 산모/신생아, 결혼이민 산모, 미혼모, 분만취약지 산모들에게는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지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청은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신청가능합니다. (16주 이후 발생한 사산과 유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1달 이내로 신청가능) 산모분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하시면 되고 단태아 5-20일, 쌍태아 10-20일, 삼태아 이상 15-25일까지 지원합니다.
 
 
장애인 분들의 활동지원 서비스도 있는데요, 혼자 사회생활이나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분들에게 활동지원을 해줍니다.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신청할 수 있으나, 장기요양급여 판정 이력이 있을 경우 신청이 되지 않습니다. 서비스 내용으로는 활동지원 수급자의 가정에 직접 방문해서 가사활동과 신체활동, 이동 보조를 해주거나(활동보조), 요양보호사가 목욕 장비를 갖추고 목욕서비스를 제공하거나(방문목욕), 방문간호사가 한의사나 의사의 간호지시서에 맞춰 진료보조, 간호, 요양 상담을 제공합니다.(방문간호)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아이돌봄 지원사업은 기준 중위소득 150%이하의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취업 한부모 가정에 만 12세 이하 아동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전액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소득에 따라 15%에서 80%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본인부담금 발생) 해당사항이 없는 가구는 본인부담금 100%를 내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가구는 '복지로'를 통해 신청하고, 미지원 가구는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합니다.
 
시간제 서비스는 만 3개월 이상 만 12세 이하 아동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만 3개월 이상 만 36개월 이하 영아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시간제는 연 720시간 이내, 종일제는 월 200시간 이내로 이용가능합니다. 아래 표의 A형은 13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 B형은 1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아동입니다.
 
 
가사 간병 방문 지원사업은 만 65세 미만 차상위계층,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중에서 6개월 이상 치료를 필요로하는 중증질환자, 난치성 질환자, 중증장애인,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소년소녀가정, 만 65세미만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부상으로 인한 장기치료자에게 가사 간병서비스를 제공합니다.(주민센터에서 신청)
 
지원기간은 1년이며(C형은 6개월), A형(월 24시간)은 348,0000원, B형(월 27시간)은 391,500원, C형(월 40시간)은 580,000원에 제공됩니다.(시간당 14,500원) 소득수준과 이용시간에 따라서 정부지원금이 차등지급되고 1-2만원 본인부담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은 저소득층 가정의 영아에게 기저귀와 분유를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만 2세미만의 영아를 둔 차상위, 한부모가족, 기초생활보장 가구에 지원합니다. (쌍둥이 이상은 각 아동별로 지원) 조제분유는 기저귀 지원 대상 가정 중에서 산모의 사망이나 질병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항암치료, 유방 악성신생물, 에이즈, 정신이상약에 의한 중동 등)나 한부모 가정(부자/조손가정), 영아입양가정, 공동생활가정/아동복지시설의 가정위탁아동에 지원을 합니다.
 
만 2세미만 영아에게 신청시점부터 24개월까지 지원하게 됩니다. 기저귀는 월 64,000원, 조제분유를 같이 지원받는 가정은 월 150,000원을 지원받습니다.(관할 보건소나 주민센터 신청)
 
 

기저귀 바우처 사용방법은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판매점에서 구매를 하시면 되는데요. BC카드는 온라인 상에서 G마켓, 옥션, 우체국 쇼핑몰 중 사용하실 수 있고 오프라인으로는 이마트(신세계백화점 입점점 및 트레이더스), 노브랜드, PK마켓, 바우처 결제 가능한 나들가게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롯데카드는 온라인 올마이쇼핑몰, 오프라인 바우처 결제 가능한 롯데마트에서 이용됩니다. 삼성카드는 온라인 삼성카드 쇼핑, 오프라인 이마트(신세계백화점 입점점 및 트레이더스)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지 않으신 경우 NH농협, IBK은행, 우리은행, 우체국, SC제일은행, 수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삼성카드사 및 신세계백화점, 롯데카드사 및 롯데백화점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전용카드(계좌 미연계 체크카드) 중에서 선택해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서비스에는 영유아 발달지원, 아동청소년 정서발달 지원,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노인 맞춤형 운동,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 자살 위험군 예방, 아동청소년 비전형성, 다문화가정 아동 발달지원, 건강취약계층 운동, 비만아동 건강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서비스인 영유아 발달지원서비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정의 만 0-6세 아동을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 평가 결과 발달 지연이나 발달 경계상태이며 유아교육기관장이나 보육시설장이 추천한 영유아에게 지원을 합니다. 1년간 주 2회(회당 60분) 지정된 발달센터에서 대근육, 소근육 운동기술을 촉진시키고 의사소통과 어휘, 문장 구조 발달 ,인지 발달, 정서 표현과 사회적 활동을 촉진시켜 주는 활동을 합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서 월 16-18만원까지 지원하고 본인부담금(2-4만원)이 생길 수 있습니다.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서비스나 발달재활서비스와 동시이용은 되지 않는다고 하네요.(주민센터신청)
 
 
저는 아이를 키우면서 산모신생아건강관리서비스와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를 알게되었는데요, 이 서비스들은 모른다면 이용하지도 못할 것 같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지원자격을 보시고 해당이 되시면 지원 받으셔서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