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죽게 되고 무상으로 넘겨 받는 재산에 부과하는 세금을 '상속세'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무상으로 받는 증여세와 비슷하지만 사망 여부로 차이가 납니다. 상속세의 면제한도액과 신고기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 과세표준은 상속세과세가액에서 상속공제액을 빼서 산정하게 되고 이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하면 상속세의 산출세액이 나오게 됩니다. 상속받는 재산의 시가를 모르는 경우 기준시가로 과세를 하게 됩니다. 토지는 공시지가, 건물은 준공일, 용도, 건물 구조 및 면적을 보고 시가표준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상가는 건물의 시가표준액(국세청 고시 가격)에 토지공시지가를 합해서 평가하게 됩니다. 상속 공제는 기초 공제로 2억원을 공제하나,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 기초공제 외에 다른 공제는 적..
일상생활
2020. 5. 19. 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