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방쓰는법 간단해요

 

지방쓰는법 및 차례상 놓는 법 정리

 

추석 하면 제일 먼저 뭐가 생각나나요? 송편, 풍성한 과일, 한복 등이 있겠지만 조상님께 올리는 차례..매년 올리면서도 항상 헷갈리게 됩니다. 지방쓰는법 및 차례상 놓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이에 만든 신주를 지방이라 하는데, 조상님의 혼백을 모셔오기 위해 쓰게 됩니다. 영정사진을 놓고 지낼 경우엔 지방을 안써도 되나, 그렇지 않다면 꼭 이용해야 합니다. 길이 22cm, 폭은 6cm 의 창호지 혹은 한지를 준비합니다. 모시는 고인이 여자이면 오른쪽,남자라면 왼쪽에 기입해야해요. 우선 고인과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 막판으로 신위를 써내면 된답니다. 

 

고인이 어머니일 경우엔 현비(顯妣), 아버지일 경우엔 현고(顯考)를 적습니다. 만약에 할머니, 할아버지께 드린다면 현비와 현고 사이에 조()를 넣어주고, 증조인 경우에는 증조(曾祖)를 추가하게 됩니다. 

 

 

이외의 것으로 아내는 망실(亡室)혹은 고실(故室), 남편은 현벽(顯辟), 동생은 망제(亡弟) 혹은 고제(故弟), 형은 현형(顯兄), 형수는 현형수유인(顯兄嫂孺人)를 붙여 지방을 씁니다. 딸은 망녀(亡女) 혹은 망자(亡子), 아들은 망자(亡子) 혹은 고자(故子)를 기입합니다.

 

 

 

고인과의 관계 다음에는 직위를 적는데요. 관직이 존재하면 그 관직을 쓰면 되고, 없는 경우라면 여성은 유인(曾祖), 남성은 학생(學生) 이라 적게 됩니다. 의사면 의사, 법학자면 법학자 이런식으로 적으시면 됩니다.

 

 

고인이 여자일 경우 본관과 성씨를 이용하고, 남성일 경우 부군(府君)으로 통일합니다. 이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남성에게도 본관과 성을 쓰는 케이스가 있는데요. 맞는 표기 방법은 아닙니다. 막판으로 신위(神位)를 쓰게되면 끝! 신위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하는 자리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름을 알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고조모 이름이 장록수라면 (현고조비유인 장록수 신위)로 이름을 직접 쓰셔도 됩니다.

 

 

만약에 관직이 없는 할머니일 경우, 顯祖妣曾祖金海金氏神位(현조비유인김해김씨신위)라 씁니다. 고조모(고조할머니)는 현고조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高祖妣孺人 金海金氏 神位), 증조모(증조할머니)는 현증조비유인 김해김씨 신위(顯曾祖妣孺人 金海金氏 神位)로 씁니다.

 

 

 

 

할아버지는 顯祖考學生府君神位(현조고학생부군신위)라 쓰게 됩니다. 고조부(고조할아버지)는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증조부(증조할아버지)는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라 씁니다.

 

 

어머니는 顯妣曾祖金海金氏神位(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 아빠는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 기록하면 된답니다. 한자 때문에 다소 헷갈릴 수 있으나 어떻게 쓰는지 보고 나면 간단히 쓸 수 있습니다.

 

 

이름을 잘 모르는 경우 고조할머니 신위, 고조할아버지 신위, 증조할머니 신위,  증조할아버지 신위, 할머니 신위, 할아버지 신위, 어머니 신위, 아버지 신위로 적게 됩니다.

 

 

유인(孺人)은 남편이 벼슬이 없더라도 정9품의 벼슬을 써서 대접한 명칭입니다. 남편이 관직에 소속되어 있다면 '유인' 부분을 다른 것으로 바꿔 주어야하는데요. 8품의 처는 단인(端人), 7품의 처는 안인(安人), 6품의 처는 의인(宜人), 5품의 처는 공인(恭人)이라 씁니다.

 

 

4품의 처는 영인(令人), 3품의 처는 숙인(淑人), 정3품 당상관의 처는 숙부인(淑夫人), 2품의 처는 정부인(貞夫人), 1품의 문무 관료의 처는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바꾸어 씁니다. 현대 직급과 비슷한 명칭을 쓰면 되겠습니다.       

 

 

 

 

차례상 유의사항 및 차례상 차리는 방법

 

 

 

첫째, 꽁치, 삼치 등 끝이 치로 끝나는 어류는 올리지 않아요. 흔하다고 생각하여 제사상에 올리지 않은 것이 풍습이 되어 이제껏 사용하지 않는답니다. 둘째, 복숭아는 올리지 않아요. 털이 있는 과일은 귀신을 쫓아낸다는 속설 때문이에요. 셋째,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이용해야 해요. 

 

 

 

1열부터 5열까지 차례상은 신위(지방) 기준에 따라서 차리게 되는데요. 각 열마다 놓는 음식, 방향, 순서가 모두 다릅니다. 5열: 좌측부터 조율이시(棗栗梨柿)를 따라 대추, 밤, 곶감 순으로 놓습니다. 흰 과일은 서쪽, 붉은 과일은 동쪽에 놓는 홍동백서를 따르기도 합니다. 5열은 지역마다 상이할 수 있으니 유의해서 놓기 바랍니다. 

 

 

4열: 우측 끝에는 식혜를, 김치나 나물 등 밑반찬과 같이 좌측 끝에는 포를 놓습니다. 좌포우혜(左脯右醯)

 

 

3열:  물고기, 두부, 고기를 이용해서  소탕, 육탕, 어탕 등의 탕류를 올리게 됩니다. 

 

2열: 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서 고기는 서쪽, 어류는 동쪽에 놓습니다. 이 때 어류는 꼬리는 서쪽, 머리는 동쪽을 바라보고 놓습니다.두동미서(頭東尾西)

 

 

1열:  잔반(받침대,술잔), 시접(숟가락을 넣는 대접)을 올립니다. 이 때 신위 수만큼 올리게 됩니다. 설날은 떡국을 같이 올리기도 합니다. 

 

 

 

 

차례나 제사가 끝나고 나면 지방은 태우게 됩니다. 한자로 주로 쓰긴 하지만 꼭 한자가 아닌 한글로 마음을 담아 쓰셔도 상관 없습니다. 한분을 모시는 상황이라면 중앙에 기입하고, 부모님을 두 분을 모시는 경우 어머니는 우측, 아버님은 좌측에 적습니다. 두 분 이상 모시는 경우 왼쪽에서부터 차례대로 기입합니다. 

 

지방쓰는 법 및 차례상 놓는법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록 가족 및 친척들을 보지 못하는 분들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만.. 즐거운 추석 명절 되시기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